리서치 하이라이트
신경근육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아밀로이드 유사 마이오-그레뉼 형성에 관여하는 TDP-43 돌연변이
Nature 563, 7732
TDP-43 응집체의 축적은 신경근육성 질환에서 흔한 특징이지만, TDP-43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에서 이러한 응집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Thomas Vogler와 공동연구원들은 TDP-43이 생쥐와 사람의 정상적인 근골격계 재생과정 동안에 세포질 내에서 마이오-그레뉼(myo-granule)로 명명된 아밀로이드 유사 올리고머 조립체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이오-그레뉼은 근절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미오파이버 성숙(myofiber mature) 과정에서 제거된다. 비록 이러한 마이오-그레뉼이 근육 재생 동안에 독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마이오-그레뉼은 TDP-43 아밀로이드 파이버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사실이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밝혀졌으며, 근육병을 가지고 있는 생쥐 모델에서 함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마이오-그레뉼의 제거가 감소하게 되면 이들 간의 결합이 증가하게 되며, 신경 근육성 질환에서 관찰되는 TDP-43 응집체를 세포질 내에 형성하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8년11월2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초윤활성 및 초저 마찰력 표면을 가진 구조 개발
광자, 생리학, 그리고 식품에 대한 LED 적용
Aedes aegypti에 대한 개량형 표준 지놈 분석을 통한 바이러스 숙주 조절 전략 수립
신경근육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아밀로이드 유사 마이오-그레뉼 형성에 관여하는 TDP-43 돌연변이
신경관 유전자 발현을 통한 줄기 세포에 의한 턱뼈 재생 메커니즘
BRCA1 결핍 세포에서 MRE11에 결합하여 DNA 말단 절제를 억제하는 DYNLL1
표지 기사: 고체상태 에어로 플레인 개발
한타 바이러스의 폐 상피 세포 감염에 관여하는 PCDH1
자가 면역 및 암 조직에서 T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대사 BH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