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인간에서 항 바이러스성 신호전달을 촉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중 나선 RNA
Nature 560, 7717
Nick Proudfoot과 공동연구원들은 이중 나선 미토콘드리아 RNA가 세포질로 방출되는 경우 인터페론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저자들은 세포 기질성 이중 나선 RNA 수용체에 의한 자가 인식이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 이중 나선 RNA의 축적을 제한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중 나선 RNA 헬리카아제 SUV3와 엑소리보뉴클레아제 PNPase에 의한 항상성 유지 작용에 의해서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대사 경로의 조절 이상은 루프스 또는 AGS와 같이 제 1형 인터페론 시그네처를 가지는 자가 면역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8월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공명 교환 큐비트를 이용한 응집 스핀-광자 결합
표지 기사: 노화 및 알츠하이머 질환에서 뇌막 림프관의 노폐물 제거 기능
내장 리슈만편모충증의 사이클린-의존성 인산화효소 12를 타깃으로 하는 후보 약물
NLRP3 인플라마솜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미토콘드리아 DNA 합성
그래핀 나노리본에서 강력한 위상학적 양자 위상 엔지니어링
대기 중 휘발성 물질의 맨틀 내 재순환 연구에 사용하는 제논 방사선 동위원소
척추동물 신경관 및 두개골 기원판의 진화 기원
전세계 토양 상층부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조 및 기능
인간에서 항 바이러스성 신호전달을 촉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이중 나선 RNA
SVZ 로부터 유래하는 인간 교모종 세포의 기원이 되는 신경 줄기 세포에 존재하는 낮은 레벨 돌연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