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비만 개체에서 간에서 분비되는 DPP4에 의해서 촉진되는 지방 세포 염증 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
Nature 555, 7698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서 간에서 분비되는 인자들이 근육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며, 췌장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비만 상태에서 지방의 병리생물학(pathobiology)을 촉진하는 헤파토카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번 주 네이처에서 Ira Tabas와 공동연구원들은 비만이 간에서의 DPP4 (dipeptidyl peptidase 4)의 합성과 분비를 촉진하며, 이를 통해서 플라즈마 인자 Xa가 내장 지방 조직의 대식세포가 염증을 유발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간의 DPP4를 억제하면, 비만 생쥐의 대사를 개선하며, 이를 통해서 DPP4가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과 전신적인 대사성 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2018년3월2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부완핵 CGRP 뉴런에 의한 위험성 감지 반응 암호화
실리콘에서 코히런스 스핀-광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내 세균총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비-항생제 약물
신경 발달 이상에서 나타나는 조절 인자의 de novo 돌연변이
암흑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은하계
표지 기사: 인슐린 저항성을 통해서 영양분이 결핍된 환경에서 적응한 동굴 어류 Astyanax mexicanus
TRP 채널에 의해서 전달되는 해로운 열 감각 반응
해안선 변형을 통한 화성에서 해양이 있었던 시기 추정
비만 개체에서 간에서 분비되는 DPP4에 의해서 촉진되는 지방 세포 염증 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