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코헤신 제거를 통해서 밝혀진 염색체 구성에 대한 두 가지 서로 다른 모드
Nature 551, 7678
인터페이스 염색체의 핵 내 구성은 TAD(topological domain)의 경계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CTCF와 코헤신(cohesion)과 같은 구조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생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백질들의 실험적 제거는 염색체 구성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Francois Spitz와 공동연구원들은 코헤신 로딩 인자 nipbl이 생쥐의 간세포에서 유도를 통해서 제거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저자들은 염색체와 관련된 코헤신의 감소는 TAD와 TAD-연관 루프의 소실을 유발하지만, 특정 구역으로 지놈을 격리하는 것이 보존되며, 전사는 단지 일부 유전자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게 된다. TAD의 소실은 국소적인 전사 활성을 반영하는 구조를 드러나게 만든다. 따라서 지놈 구성은 코헤신의 서로 다른 요구 조건이 필요한 두 가지 다른 메커니즘의 결과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rticle 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