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유기물에 의한 영향을 받은 구름 입자 활성화와 관련된 표면 장력
Nature 546, 7660
구름 응축핵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 입자에서 이질성 핵형성을 통해서 만들어진 대기 중 구름으로부터 빗방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핵의 자발적인 활성화는 두 가지 요소인 라울 효과(Raoult effect) 및 켈빈 효과(Kelvin effect)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결정된다. 라울 효과에서는 활성화 잠재력이 용질의 농도가 증가하거나, 물의 활성화가 감소하게 되면 증가하게 된다. 켈빈 효과에서는 활성화 잠재력이 빗방울 크기가 감소하면 줄어들게 되며, 표면 장력이 낮아지면 증가하게 된다. 입자의 표면 장력을 낮추는 것은 전체적인 구름 빗방울 입자의 활성화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를 통해서 얻어진다. 하지만, 이번 주 네이처에서 Colin O’Dowd와 공동연구원들은 대기 중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라울 효과에서 나타나는 어떠한 변화도 구름 빗방울의 농도가 대규모로 증가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표면장력을 낮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기후 모델에서 구름 생성프로세스를 만드는데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표지 사진: michaeldunlap.net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