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공생 세균을 감지하는 식물의 LysM 수용체 유사 카이네이즈

Nature 425, 6958

콩과 식물과 질소 고정 세균인 Rhizobium과의 공생관계는 지난 몇 백년 동안 생물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왔다. 이들의 공생관계에 대한 많은 의문점들 가운데 하나는 ‘어떻게 콩과 식물이 토양 속에 존재하는 수많은 종류의 세균들 중에서 유익한 세균을 인식하는가?’라는 문제였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의 일부는 Rhizobium의 신호 전달 물질인 리포키틴 올리고당(lipochitin oligosaccharide) 또는 NOD 인자가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콩과 식물의 실험 모델인 Lotus japonicus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서 Rhizobium이 분비하는 신호전달 물질인 NOD인자를 인식하는 콩과 식물의 수용체의 중요한 2가지 구성 요소가 밝혀졌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서 Rhizobium과 유사한 군체 형성 메커니즘을 공유하는 Mycorrhizal fungi와 일반 곡류가 공생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하는 원인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