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커버스토리: 유한 우주 모델에 대한 WMAP 관측 결과

Nature 425, 6958

정말로 우주는 무한할까? 빅뱅(Big Bang) 이후에 남아있는 복사의 온도 변동을 측정하는 나사(NASA)의 WMAP(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를 운용한 첫해에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우주의 대규모 온도 변동이 무한 우주 모델에서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히려 실제 측정된 값은 유한 우주 모델에서의 예측 값과 유사하였다. 유한 우주 모델에서는 우주의 한계는 없지만, 마치 실린더 형태로 감겨 있는 종이와 같이 우주가 휘어 있다고 보고 있다. 마치 종이 실린더(뫼비우스 띠) 위를 걷고 있는 개미가 다시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처음 출발한 지점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시선 역시 실제 우주 주위로 휘어져 있다는 것이다. 표지 그림: WMAP에 의한 관측 결과를 설명하고 있는 유한 우주에 대한 12면체 기하 모델(dodecahedral geometric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