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하부 맨틀의 탄력성과 관련된 철 함류량
Nature 543, 7646
지진 관측과 실험실을 기반으로 한 탄성력 측정을 통한 지구의 하부 맨틀을 구성하고 있는 화학 성분을 추정하기 위한 시도들은 미네랄 브릿지머나이트에 대한 실험실 결과가 부족하여, 답보상태에 있는 상황이다. Hauke Marquardt와 공동연구원들은 알루미늄 및 철을 함유한 브릿지머나이트의 단일 결정 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탄성 움직임이 MgSiO3 내성분과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데이터를 하부맨틀의 가장 상층부에서 지진파의 속도 모델에 이용하였으며, 열분해성 맨틀 조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브릿지머나이트와 다른 미네랄인 페로페리클라스 간의 철 함유량이 맨틀 깊이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의 미네탈 물리학 추정은 PREM (Preliminary Reference Earth Model)이 미네랄 물리학의 추정과 일치하였는데, 이는 1,200킬로미터 깊이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저자들의 속도 계산은 좀더 얕은 맨틀에서의 속도와는 달랐으며, 이는 브릿지머나이트의 양전자 위치가 변경되었거나, 하부 맨틀에서 강 자성 접촉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3월2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지놈 구조 맵핑을 통한 복잡한 다중 인핸서 구조체
인산염 스트레스와 식물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식물 뿌리 세균
자폐증 관련 유전자 Ube3a와 발작에 의한 VAT Cbln1 유전자 발현 및 사회성 감소
표지 기사: 초기 공룡 진화 과정에서 종간 상관관계에 따른 용반목과 조각목 공룡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
하부 맨틀의 탄력성과 관련된 철 함류량
스핀 앵글과 기존 한계를 넘는 증폭에 대한 동시 추적
HIV-1에 대한 중화항체 개발
CCR4-NOT 복합체를 타깃으로 하는 mRNA를 통한 원시 줄기 세포 유지에 관여하는 DND1
높은 퀄리티의 자연 서식지에서 더 많은 수의 여왕벌을 만드는 호박벌 개체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