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발달 중인 인간 뇌에서 염색질 3차원 조절 메커니즘
Nature 538, 7626
염색질은 계층적인 3차원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깃 유전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시스-조절 인자(cis-regulatory element) 내에 명확한 기능성 유닛에 의해서 유전자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Daniel Geschwind와 공동연구원들은 발달 중에 있는 인간 뇌에 함유되어 있는 고해상도 3차원 염색체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Hi-C 테크닉을 이용하였다. 이들은 Hi-C 지도와 다른 데이터들을 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인헨서-프로모터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들 중 다수는 인지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이러한 염색질 지도와 정신분열증 지놈 연구에서 확인된 비-암호화 변이체를 통해서 정신분열증과 연관서을 가질 수 있는 위험 유전자들을 확인하였다.
2016년10월2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새로운 커리어 개발 경로
다양한 암 세포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MCL1 억제인자, S63845
기존 컴퓨터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신경 네트워크 개발
달에서의 고에너지 거대 충돌에 대한 칼륨 방사선 동위원소 증거
다중 모순 변수 측정을 위한 새로운 양자 다이나믹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전체 생태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급성 T세포성 백혈병 세포와 골수 미세 환경과의 상호 작용 메커니즘
발달 중인 인간 뇌에서 염색질 3차원 조절 메커니즘
불안정한 중력 디스크의 단편화를 통해서 형성된 3중 원시별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