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응집성 다이나믹스, 비대성, 2차원 단백질 결정의 자가 조립성

Nature 533, 7603

비대를 촉진하는 물질은 내부 구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측하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수직으로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들을 늘리면, 폭을 가로질러 두껍게 되고, 압축을 하게 되면 얇아지게 된다. Akif Tezcan과 공동연구원들은 각각의 단백질 유닛 간의 위치와 결합 방식에 따라서 결정 구조의 단백질 격자를 만들어서 이러한 변형을 입증하였다. 저자들은 C4-대칭성 단백질 RhuA의 돌연변이를 디자인하여, 정교한 공간적 구성과 패턴을 가진 2차원 결정 격자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황화 결합과 금속에 의한 협응성은 강함과 유연성 간의 균형을 제공하며, 손상도가 낮은 격자는 적용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일관성 있는 회전 운동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