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뇌 해면성 기형과 관련된 MEKK3-KLF2/4 신호 전달 경로
Nature 532, 7597
Kark Kahn과 공동연구원들은 뇌졸중과 마비를 유발하는 혈관 기형인 뇌 해면성 기형(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의 유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CCM 복합체는 심장 발달 동안에 MEKK3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EKK3 신호의 획득은 MEKK3 타깃 유전자인 Klf2와 Klf4의 활성화를 통해서 CCM 발달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보였다. 혈관 내피 세포 특이적인 MEKK3 활성 소실은 KLF2와 KLF4 유전자가 생쥐 CCM 모델을 치명적인 상태에서 회복시켜 준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2016년4월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사회적 정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발전
기후 조절 능력을 가진 토양의 기능
집중력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신경 질환과 관련된 시상 그물핵 내 Ptchd1Y 유전자 결손
점막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곰팡이 독소, 칸디다라이신
포식자 냄새에 반응하는 스트레스 호르몬과 관련된 후각 대뇌피질 특정 영역
압력을 가한 황화수소 시스템에 의한 고온 초전도 현상
뇌 해면성 기형과 관련된 MEKK3-KLF2/4 신호 전달 경로
지구와 인접한 초신성 폭발에 의해서 형성된 지각 내 60Fe 방사선 동위원소
일배체 배아 줄기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