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질소 고정 세균과 콩과 식물 간의 상호 작용에 관여하는 외부 다당류 인지 메커니즘
Nature 523, 7560
Rhizobium 균은 콩과 식물의 뿌리에 감염되며, 여기에서 질소 고정을 위한 뿌리 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생 관계는 질소 비료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농업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하지만 콩과 식물들은 토양 내에 존재하는 수 많은 세균들 중에서 이와 같은 도움이 되는 세균을 어떻게 찾아낼 수 있는 것일까?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세균의 외부 다당류가 세균과 다세포 생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Jens Stougaard와 공동연구원들은 야생형 Lotus japonicus와 Rhizobium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다당류 수용체인 EPR3 (Exopolysaccharide receptor)를 확인하였다. EPR3은 Nod 인자라고 알려진 공생 세균 유래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발현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수용체가 외부 다당류를 인식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공생 세균의 감염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