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섬모
Nature 521, 7553
선천성 심장 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CHD)을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일은 상당히 도전적인 연구이다. 왜냐하면, 부분적으로 무작위적인 염기서열의 유전적 변이로부터 질병과 관련된 돌연변이를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Cecilia Lo와 공동연구원들은 선천성 심장 질환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회복시키는 화학적 돌연변이와 함께 유전적 스크리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218개의 다양한 조건을 가지는 생쥐 모델과 전체 액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서, 61개의 유전자에서 91개의 열성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자들을 통해서 얻어진 새로운 사실은 섬모와 섬모에 의한 세포 신호전달이 선천성 심장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었다.
2015년5월2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항암제 내성을 가진 난소암에 대한 전체 지놈 특성 분석
선신세 중기 호미닌의 종다양성을 입증해주는 에티오피아 새로운 호미닌 화석
독소에 의한 물질 전송을 밝힌 탄저병 보호 항원의 2.9Å 해상도의 구조 분석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섬모
감각 대뇌 피질에서 신경 개체집단의 다양한 결합 양상
C. elegans의 노화 과정에서 미토파아지와 미토콘드리아 생물학적 생성을 조절
표지 기사: 손상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할 수 있는 자율 운동 로봇
CDC42에 의해서 유도되는 골지체 내의 양방향성 단백질 수송 조절
인근 전파 은하계의 제트에서 내부 충돌에 대한 킬로파섹 스케일 분석
해수면 관찰을 통해서 확인된 대서양 기후 변화에 대한 해양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