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조혈모세포의 노화에 따른 DNA 손상 누적
Nature 520, 7548
조혈모 세포의 세포 나이가 증가할수록 DNA 손상이 누적되는 것은 연령에 따른 퇴행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어왔으며, 이러한 아이디어는 골수의 기능이상과 연관된 판코니 빈혈과 같은 질환들이, DNA 손상 수선에 의해서 입증되어 왔다. Michael Milsom과 공동연구원들은 이와 같은 조혈모 세포의 DNA 손상이 스트레스 상황을 모방한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에 반응하여, 조혈모 세포들이 휴지기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코니 빈혈에 대한 돌연변이를 모델링하고 있는 생쥐 모델에서는 조혈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스트레스에 의해서 유도된 조혈모 세포 DNA 손상이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인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노화된 조직에서도 어떻게 유도되는지를 알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15년4월2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외부 침입 DNA에 대한 선택성을 가진 CRISPR
TRPA1 채널 구조 분석 및 이를 통한 조절 메커니즘 확인
피질 억제 균형에 의한 모성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옥시토신
조혈모세포의 노화에 따른 DNA 손상 누적
슈퍼 인헨서와 T 세포 간의 상호 작용
선천성 면역 반응에 의한 항 바이러스 활성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 DNA 기능
대규모 별 생성 지역에서 자기장에 의한 유사 단편 조절
표지 기사: 강 줄기 네트워크 저항에 의한 결과에 의한 지형 형성
지구와 달 간의 강착 시점 차이에 대한 텅스텐 방사선 동위원소 증거
개체 집단에서 질환 발병 위험성에 관여하는 계통 분류학적 구조 및 유사 종 풍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