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가짜 알러지 약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 세포 수용체 확인
Nature 519, 7542
신체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견되는 선천성 면역 세포인 비만세포는 알러지 반응에서 활성화되어 있다. 비만 세포는 염증 친화성 신호전달 팹타이드와 같은 양이온성 물질, 치료 약물, 그리고 동물 독소 성분과 같은 것들에 의해서 면역글로블린 E 독립적 매너로 활성화 될 수 있으며, 히스타민 분비, 염증 반응, 그리고 기도 수축과 같은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Xinzhong Dong과 공동연구원들은 사람의 MRGPRX2와 동일한 Mrgprb2라고 불리는 단일 G 단백질 결합 수용체가 생쥐 모델에서 이러한 활성화 인자들에 대한 유일한 비만 세포 수용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MRGPRX2가 약물에 의해서 유발되는 다양한 이상 반응을 치료하기 위한 잠재적인 약물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Mrgprb2가 넉아웃 된 생쥐 및 다른 생쥐 모델들도 염증 성분에 의해서 유도된 질환에서 항체 독립적 비만 세포 활성화에서의 역할을 밝힐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3월1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완신세에서 인류세로의 전환에 대한 지질학적 기록
CRISPR-Cas 적응 동안 얻어진 바이러스 타깃에 대한 Cas9 특이적 활성
고해상도 개통 추적 기술을 이용한 진화 다이나믹스 정량 분석
가짜 알러지 약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 세포 수용체 확인
초파리에서 집단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기계 감각적 상호작용
생쥐 뇌간의 위둔덕에 있는 방향 감각 세포의 기능적 구조
발달 장애와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대기 온도 상승에 의한 북아메리카 경수 호수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방출 감소
초저온 원자를 포함하는 허브바드 모델에서 반-강자성 연관성 관측
엔켈라투스 상에서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열수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