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편평세포 두경부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지놈 특성 분석
Nature 517, 7536
표지사진은 노르웨이 아티스트인 Espen Kluge의 작품인 ‘퍼셉션’은 여러 개의 선으로 만들어진 얼굴 조각상이다. 평편세포 두경부암은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암 중에 하나이다. 비록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 요법 병행에 대한 초기반응에도 불구하고, 절반 정도는 초기 진단 2년 내에 재발한다. 최근까지 분자 마커와 타깃 치료법은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번 주 네이처에 게재된 연구 논문에서 CGA(Cancer Genome Atlas) 연구원들은 서로 다른 HPV (human papillomavirus) 감염상태에 있는 편평세포 두경부암(HNSC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에서 잠재적인 생물학 및 임상적인 중요성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에 대해 전체 지놈에 대해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저자들은 이번에 밝혀진 돌연변이 프로파일을 통해서 편평세포 두경부암의 다양한 서브그룹을 밝힐 수 있었다. EGFR, FGFR, PIK3CA, 그리고 사이클린 의존성 인산화 효소의 돌연변이는 주요한 편평세포 두경부암 서브 그룹에 대한 치료적 중재의 잠재적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지 사진 제공: www.espen-kluge.com
2015년1월2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Arabidopsis에서 2차 세포벽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네트워크 확인
글로벌 기후변화 트랜드의 변화
표지 기사: 편평세포 두경부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지놈 특성 분석
CRISPR-Cas9 복합체에 대한 조작을 통한 전체 지놈 규모 전사 활성화
폐 조직의 재생에 필수적인 기도 줄기 세포
P53 결핍 종양 조직의 억제를 유도하는 IAPP 유도 대사 재 프로그램화
신생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결핵균 성장 제한
25억년 된 별 클러스터에 대한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저온 항성의 자전 주기 재설정
후기 단계 기능화에 적합한3차 C-H 결합의 아지드화를 위한 금속 촉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