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CCL2 억제 중단에 의한 유방암 세포의 전이 가속화

Nature 515, 7525

염증성 단핵구는 CCL2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전이 암에 침투 및 이들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CCL2를 중화하거나, CCR2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Laura Bonapace 등은 유방암에 대한 생쥐 모델에서 CCL2에 대한 항체 요법이 치료 효과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폐 전이의 가속화를 통해서 치료군의 동물들이 대조군에 비해서 훨씬 빠르게 사망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폐 전이 환경에 골수 유래 단핵구 세포가 침투하고, IL-6에 의존적인 혈관 형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CCL2 항체 치료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며, IL-6 항체 치료법이 전이를 방지하고, 생쥐 모델에서의 치료군에 대한 생존률을 높여 줄 수 있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