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젊은 저질량 다중 은하계 시스템인 GGTauA에서의 행성 생성 가능성
Nature 514, 7524
ALMA(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관측소에서 측정한 G GTau A는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은하계 시스템 가운데 하나로써, 불안정한 젊은 쌍성계에서도 행성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들의 흐름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러한 물질 흐름은 이전에 수학적 모델을 통해서 추정했었지만, 관측을 통해서 검증된 바는 없었다. 새롭게 얻어진 이미지에서는 GGTau A 공동 내에 방출된 일산화탄소에 의해서 추적된 가스 단편을 보여주고 있다. 운동 역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이러한 흐름이 GG Tau Aa 주변에 위치한 내부 디스크가 지속되는 것이 강착 수명을 넘어가며, 행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지해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014년10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학술 인용 지수 SCI의 중요성 및 가치
초기 포유류의 진화적 다양성에 보여주는 3종의 쥐라기 하라미드 화석
줄기세포-내피세포 전이(MEndoT)를 통한 심장의 재관류 작용
뉴클레오솜과 결합된 PRC1 유비쿼틴화 모듈의 결정 구조 분석
췌장 선암종에서 발암 유전자 제거 후 생성된 내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미토콘드리아 기능
유인원 HIV 감염에 대한 보호 작용을 강화시킨 돌연변이 VRC01 항체
지난 탈 빙하기 시기에 발생한 전세계 탄소 순환에서의 수 백년 단위 변화
젊은 저질량 다중 은하계 시스템인 GGTauA에서의 행성 생성 가능성
장내 상피 조직에서의 신속한 푸우코스 합성과 숙주-미생물 공생체 간 상호 작용 간의 연관성
지그재그 형태의 가장자리를 가진 좁은 그래핀 나노리본 상에서 구현한 상온 자기적 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