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사모아 원주상 맨틀 상승류의 지질화학적 기하학을 밝힌 헬륨 및 납 방사선 동위원소 비율
Nature 514, 7522
원주상 상승류가 공급되는 하와이와 사모아와 같은 핫 스팟에서 분출하는 용암은 그 화학적 특성이 다르다. 하지만, 화산에서 분출하는 용암의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이 핫 스팟 아래에 있는 맨틀 내에서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진 바가 없었다. Matthew Jackson과 공동 연구원들은 사모아 용암의 헬륨과 납 방사선 동위원소 조성과 원주상 상승류 내에서의 지질화학적 종들 간의 분포 제한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사모아 데이터는 몇몇 명확히 구분 가능한 지질 화학적 그룹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화산의 지리학적 정렬을 이루고 있고, 낮은 3He/4He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4가지 방사선 동위원소-지리학적 그룹은 높은 3He/4He 비율을 가진 납 방사선 동위원소 종을 가진 지역으로 집중되었는데, 이는 낮은 3He/4He 비율을 가진 성분이 3He/4He 비율이 높은 성분과 원주상 상승류 내에서 혼합되는 것과 일치하였다.
2014년10월1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생존을 위한 전세계 대학들의 변화 시도
글루타민산 수용체 활성화 및 탈-민감화에 대한 구조적 메커니즘 분석
모나크 나비의 이주 및 경계색에 대한 유전적 배경
원래 상태의 조혈모세포가 가지는 클론 다이나믹스
할루시게니아의 오니코포어 유사 발톱과 타토포다 사례 분석
In vivo 생쥐 간에서 CRISPR를 이용한 직접적인 암 유전자 돌연변이 유도
RIG-I에 의한 5’-이인산염을 가진 RNA 인식 및 이를 통한 항바이러스 면역원성
전력망 레벨에서의 에너지 저장을 위한 리튬-안티몬-납 액체 금속 배터리
사모아 원주상 맨틀 상승류의 지질화학적 기하학을 밝힌 헬륨 및 납 방사선 동위원소 비율
사람 원추 전구 세포 유래 망막모세포종을 억제하는 Rb 유전자
금속 성분이 극히 드문 은하계에서 확인된 매우 낮은 별 생성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