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질병 내성 방어 메커니즘을 조절하는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
Nature 511, 7508
세균의 엔도 톡신에 노출되기 전에 선천성 면역계가 가지고 있는 엔도 톡신 저항성은 뒤이은 엔도 톡신 노출에 대한 숙주의 반응을 경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비록 이러한 반응에 대해서 최근 그 관심이 다시 집중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번 주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는 엔도 톡신 내성이 대사성 효소인 IDO1(indoleamine 2,3-dioxygenase)와 TDO2(tryptophan 2,3-dioxygenase)의 연속적인 관여에 따른 트립토판 이화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응은 키눌레닌(kynurenine) 생성을 유도하며, 이러한 키눌레닌은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aryl hydrocarbon receptor, AhR)를 활성화시킨다. 1차 엔도 톡신 챌린지는 AhR, TDO2, 그리고 인터루킨에 의해서 조절되지만, 그 이후의 내성은 AhR, IDO1, 그리고 사이토카인 TGF-β가 관여하며, 적은 면역 독성만으로 독소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해준다.
2014년7월1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건강인과 환자에서 체세포 및 면역 세포 대사의 차이점 분석
질병 내성 방어 메커니즘을 조절하는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
유도 만능 줄기세포에서 나타나는 변이체 확인
GABA 생성 및 도파민 생성 시냅스 신호전달을 위한 서로 다른 Cntnap4
새로운 종 형성을 위한 무성 생식 경로로써의 수평적 지놈 이동
두개골 내 생식세포 종양에서 확인된 새로운 체세포 및 생식세포 돌연변이
북 대서양에 용해된 철의 공급원에 대한 정량적 분석
저 차원 위상 변화 필름에 의한 광전기적 프레임 워크
표지 기사: 양서류 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내성 및 백신 투여
영국 내 소 결핵 확산과 방역을 위한 다이나믹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