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간기에 있는2세포 생쥐 배아의 세포질에 의한 핵 재프로그램화
Nature 509, 7498
불임 치료 및 다른 처리 과정에서의 체세포 핵 치환 이후에 발생하는 재프로그램화는 세포 분열 중기에서 엄격하게 정지된 수여자의 세포질에 의존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Shoukhrat Mitalipov와 공동연구원들은 간기 단계인 2세포기의 생쥐 배아가 번역된 체세포 핵의 재프로그램화 및 배아 줄기세포 또는 클론화 생쥐의 생성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능성을 유도할 수 있는 인자는 간기 세포의 세포질 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의 핵을 제거하는 것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처럼 수여자 난자가 가지고 있는 재프로그램화 인자를 제거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만일 이러한 결과가 사람에게까지 확대 해석될 수 있다면, 간기 상태의 공여 세포 (수정란)가 중기 상태의 세포(미성숙 난자)에 비해서 훨씬 더 접근성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4년5월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매우 높은 단백질 합성 조절 비율이 요구되는 조혈모 세포
V1V2 부위에 대한 HIV 중화 항체 개발
표지 기사: 부드러운 사지 움직임을 위해 필요한 척추 감각 피드백에 대한 시냅스 전 억제
항 혈전 약물 타깃이 되는 P2Y12 수용체 구조 분석
간기에 있는2세포 생쥐 배아의 세포질에 의한 핵 재프로그램화
헌팅턴 무도병에서 신경 퇴행에 직접 관여하는 시스타티오닌 분해 효소
RIG-I에 의한 유비퀴틴 유도 항 바이러스 신호 전달 활성화의 구조적 기반 분석
정량적 프로테오믹스를 통해서 새롭게 밝혀진 페리틴의 오토파고좀 전달을 매개하는 카고 수용체 NCOA4
식도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매우 빠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태양계 외부 행성 픽토리스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