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간기에 있는2세포 생쥐 배아의 세포질에 의한 핵 재프로그램화

Nature 509, 7498

불임 치료 및 다른 처리 과정에서의 체세포 핵 치환 이후에 발생하는 재프로그램화는 세포 분열 중기에서 엄격하게 정지된 수여자의 세포질에 의존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Shoukhrat Mitalipov와 공동연구원들은 간기 단계인 2세포기의 생쥐 배아가 번역된 체세포 핵의 재프로그램화 및 배아 줄기세포 또는 클론화 생쥐의 생성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능성을 유도할 수 있는 인자는 간기 세포의 세포질 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의 핵을 제거하는 것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처럼 수여자 난자가 가지고 있는 재프로그램화 인자를 제거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만일 이러한 결과가 사람에게까지 확대 해석될 수 있다면, 간기 상태의 공여 세포 (수정란)가 중기 상태의 세포(미성숙 난자)에 비해서 훨씬 더 접근성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