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정신분열증 환자의 시냅스 네트워크 이상과 관련된 De novo 돌연변이
Nature 506, 7487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이들의 친척들을 대상으로 지놈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부분인 엑솜에 대한 두 편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가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되었다. 이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정신분열증에서 글루탐산염 생성 시냅스가 손상된 특이적인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스케폴드 단백질인 ARC (Activity-regulated cytoskeleton-associated protein)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돌연변이는 FMRP(Fragile X mental retardation protein)의 타깃이 되는 곳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여 정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4년2월1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정신분열증 환자의 시냅스 네트워크 이상과 관련된 De novo 돌연변이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조절
조산아의 뇌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EGFR 신호 전달 경로
조골세포에서 베타 카테닌 돌연변이의 활성화에 의해서 유발된 백혈병 발병 현상
B세포를 iPS 세포로 만든는 과정에서 관여하는 C/EBPα 유전자
열대 기온 변화에 대한 탄소 순환 민감도 2배 증가
표지 기사: 양자화 된 초유체 원자 전자소자 회로의 이력 현상
우주의 재이온화 과정 동안 나타나는 늦게 일어나는 온도 상승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해서 만들어진 건기 동안의 아마존 생산량에 대한 오류 수정
해양 보호 지역의 성공과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5가지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