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조산아의 뇌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EGFR 신호 전달 경로
Nature 506, 7487
조산아들의 생존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신생아들의 만성적인 신경 발달 이상에 대한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미만성 백질 손상은 신생아 뇌 손상을 가진 조산아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일부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성숙이 실패하면서 발생한다. Vittorio Gallo와 공동연구원들은 미만성 백질 손상에 대한 모델의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에서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신호 전달을 밝혔으며, 증가된 세포 및 조직 내의 EGFR 신호가 손상 후 기능적인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희소돌기아교 세포의 사멸이 감소하였으며, 새로운 세포 증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GFR 신호전달은 미숙아의 뇌 백질 손상을 치료하는데 대한 잠재적인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4년2월1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정신분열증 환자의 시냅스 네트워크 이상과 관련된 De novo 돌연변이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조절
조산아의 뇌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EGFR 신호 전달 경로
조골세포에서 베타 카테닌 돌연변이의 활성화에 의해서 유발된 백혈병 발병 현상
B세포를 iPS 세포로 만든는 과정에서 관여하는 C/EBPα 유전자
열대 기온 변화에 대한 탄소 순환 민감도 2배 증가
표지 기사: 양자화 된 초유체 원자 전자소자 회로의 이력 현상
우주의 재이온화 과정 동안 나타나는 늦게 일어나는 온도 상승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해서 만들어진 건기 동안의 아마존 생산량에 대한 오류 수정
해양 보호 지역의 성공과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5가지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