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초 안전성 은 나노입자 제작
Nature 501, 7467
나노 입자 형태의 귀금속의 경우 촉매, 옵토일랙트로닉스, 에너지 보존, 그리고 그 외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 나노 입자는 안정적이며, 쉽게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산화하는 단점이 있는 은 나노 입자에 비해서 훨씬 더 많이 사용되어 왔다. Anil Desireddy 등은 단일 크기 은 나노 클러스터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전기적 구조를 제시하였다. 금속의 전기적 및 물리적 특성을 충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은 나노 입자가 이용 가능하게 되면, 상대적인 풍부함과 낮은 비용 때문에 새로운 응용 분야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Letter, 399쪽]
2013년9월1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기후 변화 대응의 최전선
3차원 뇌 유사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인간 뇌 발달 및 소두증 모델 구축
베타 베럴 멤브레인 단백질의 결정 구조 분석
다운증후군 환자 줄기세포의 결함을 유도하는 과도한 USP16 발현
세포 노화를 통한 항암 치료법
장내 세균의 특이성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세균 집락화 인자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 축적과 노화와의 상관관계
궁수자리 A* 내의 블랙홀 주변의 강력한 자기장 확인
증기 증착법을 이용한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APOL1에 대한 Trypanosoma brucei의 내성 메커니즘
초 안전성 은 나노입자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