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세포 노화를 통한 항암 치료법
Nature 501, 7467
세포 독성 치료법은 세포 노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암세포의 조절 불가능한 증식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이다. 세포 독성 약물의 문제점 중에 하나는 노화된 세포가 축적되는 것이었다. Clemens Schmitt와 공동연구원들은 생쥐 림프종 모델을 이용하여 대사 경로에 대한 의존성 증가가 화학치료제에 의해서 유도된 노화 세포가 글루코오스 이용 또는 자가식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에 선택적으로 취약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글루코오스 대사에 대한 유전적 및 약물학적 치료가 암 크기 감소와 생쥐 모델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타깃화 된 종합적 치료법 개발을 통해서 화학 반응에 반응하여 노화되는 암세포가 생성되는 암에는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Letter, 421쪽]
2013년9월1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기후 변화 대응의 최전선
3차원 뇌 유사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인간 뇌 발달 및 소두증 모델 구축
베타 베럴 멤브레인 단백질의 결정 구조 분석
다운증후군 환자 줄기세포의 결함을 유도하는 과도한 USP16 발현
세포 노화를 통한 항암 치료법
장내 세균의 특이성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세균 집락화 인자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 축적과 노화와의 상관관계
궁수자리 A* 내의 블랙홀 주변의 강력한 자기장 확인
증기 증착법을 이용한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APOL1에 대한 Trypanosoma brucei의 내성 메커니즘
초 안전성 은 나노입자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