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글루타민산염 수용체 유사 유전자에 의한 식물에서의 원거리 신호 전달 메커니즘
Nature 500, 7463
동물들은 신경계를 통해서 상처에 신속하게 반응한다. 1992년 네이처에 게재된 연구 논문에서는 식물도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먼거리에 있는 상처에 신속하게 반응한다는 논란의 대상이 될만한 연구 결과를 발표됐었다. 그 이후 지금까지 일부 식물들이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조절한다는 것이 명확해졌지만, 이와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진 바가 없었다. 최근 포유류에서 시냅스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글루타민산염 수용체와 연관된 단백질에 대한 실험 및 유전학적 연구를 통한 증거들이 얻어졌다. Edward Farmer와 공동연구원들은 Arabidopsis 잎에 난 상처가 전기적 활성을 만들며, 이를 통해서 상처 부위에서 먼 부위에서 초식동물과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식물 호르몬인 자스모네이트의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GLR 유전자에 의해서 암호화 되어 있는 양전하 채널에 의해서 유도되었다.
2013년8월2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인간 암에서의 돌연변이 프로세스에 대한 특징 분석
글루타민산염 수용체 유사 유전자에 의한 식물에서의 원거리 신호 전달 메커니즘
무성생식을 통해서 진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로티퍼, Adineta vaga
빠르게 신호를 전달하는 인터뉴런에 의한 옥시 토신 신호 전달 메커니즘 분석
선택 및 제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손가락 개수의 조절
유기 광전압 물질 내에서 재조합에 대한 스핀 및 키네틱스 조절
표면 밝기 차이를 이용한 태양 유사 천체의 표면 중력 측정 방법
이산화 바나듐에서 금속-절연체 전이 상태에서의 트리플 포인트 측정
표지 기사: 인간 지놈 상에서의 다이나믹 한 DNA 메틸화 분석
생태학적 상호 작용 네트워크의 구조 및 다이나믹 한 특성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