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대뇌해면체기형 발병에 영향을 주는 EndMT 활성화
Nature 498, 7455
대뇌해면체기형(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은 발작과 뇌졸중과 같은 상황을 일으킬 수 있는 뇌 혈관 손상을 유발하는 유전질환이다. 신경외과적 수술이 현재 권고되는 유일한 방법이다. CCM 손상은 CCM1, CCM2, 그리고 CCM3 가운데 하나의 유전자에서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발생함으로써 유발된다. Elisabetta Dejana와 공동연구원들은 CCM1의 기능 상실과 관련된 손상이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서 활성화된 EndMT(endo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을 거친 상피세포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TGF-β 신호전달의 억제가 EndMT활성을 제한하며, in vivo에서 CCM 손상의 형태를 방지한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TGF-β 및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의 신호전달 경로에서 다양한 단계를 억제하는 것이 CCM 손상의 발달을 억제 또는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6월2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신경 세포 다양성 형성을 위한 전구세포 패턴 형성
타원형의 쌍성계에서 적색 거성의 다중 주기성 맥동
다양한 자가 면역 질환 발병에 관여하는 BACH2 전사인자
판구조론의 특징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는 활성 맨틀 상승의 안정성
모기 기피제인 DEET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간에 대한 우선 선택성이 사라져 버린 orco 유전자 돌연변이 모기
대뇌해면체기형 발병에 영향을 주는 EndMT 활성화
혈관상피세포 단백질 C 수용체의 결합에 의해서 유발되는 심각한 말라리아 관련 증상
빛과 광학 원자 여기 사이의 얽힘 형성
표지 기사: 물건을 정확하고 빠르게 던질 수 있는 어깨의 기능이 진화되는데 영향을 준 두발 보행
HCV 감염에 따른 핵사머 단백질의 활성 관련 고해상도 구조 분석
제브라피쉬의 심장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된 심근 줄기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