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BAF 복합체의 종양 억제 효과
Nature 497, 7451
다중 서브유닛 BAF 크로마틴-리모델링 복합체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BRG1 서브유닛의 돌연변이는 특정 암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Gerald Crabtree와 공동연구원들은 BRG1이 없는 경우, 또는 BRG1이 포함된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가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환자에게서 발견되는데, 염색체가 제 3기 브릿지를 형성한 후 G2/M 기 중지가 일어나게 된다. 저자들은 BAF가 TOP2A(Topoisomerase IIa)와 상호작용을 한다. BRG1의 ATPase 활성이 없을 경우, TOP2A는 DNA에 결합하지 못하며, 적절하지 않게 분리된 염색체가 얽히게 만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TOP2A에 의한 유사분열 중에 DNA 얽힘을 방지하는 것이 BAF 복합체가 필요하며, BAF 서브유닛이 종양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3년5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복잡한 인지 작용 중에서 혼합된 선택성의 중요성
노르웨이 가문비 나무 지놈 염기서열 분석 및 이를 통한 지놈 진화 확인
북극 툰드라 지역에서 전체 토양 탄소 저장에 변화 없는 장기적 온난화의 재구조화
BAF 복합체의 종양 억제 효과
살아있는 세포에서의 합성 아날로그 계산
척추 조직 패턴화 동안 일어나는 SHH 단백질의 원거리 이동 메커니즘
마그네타 내에서의 반-글리치 작용
구세계 원숭이와 유인원 간의 다양화가 시작된 2500만년 전 화석 발견
표지 기사: 냉동 전자 현미경 및 원자 분자 다이나믹스를 통한 HIV-1 캡시드 구조 분석
두 가지 종류의 지구형 행성을 만드는 마그마 바다 고체화 과정
무아레 초격자에서의 호프스태터의 나비 및 프렉탈 양자 홀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