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에 의한 종양 생성 메커니즘

Nature 490, 7421

지금까지 연구를 통해서 서로 다른 클론 세포들이 서로 다른 염색체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발암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초파리 모델에서 밝혀진 바 있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활성화된 Ras 발암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의 발암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암성 촉진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는 JNK 및 Hippo 종양 억제제 경로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은 활성 산소 종의 생산을 촉진하며, 이는 사람에서의 암 발생과도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이 비 세포성 방식으로도 발암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인간에서의 암 세포의 클론 진화와 확산된 종양 내 비균질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Letter, 5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