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에 의한 종양 생성 메커니즘
Nature 490, 7421
지금까지 연구를 통해서 서로 다른 클론 세포들이 서로 다른 염색체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발암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초파리 모델에서 밝혀진 바 있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활성화된 Ras 발암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의 발암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암성 촉진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는 JNK 및 Hippo 종양 억제제 경로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은 활성 산소 종의 생산을 촉진하며, 이는 사람에서의 암 발생과도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이 비 세포성 방식으로도 발암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인간에서의 암 세포의 클론 진화와 확산된 종양 내 비균질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Letter, 547쪽].
2012년10월2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BATF-IRF 상호작용을 통한 수지상 세포 발달 메커니즘
쌀 지놈 분석을 통한 재배된 쌀의 기원 추적
뉴로텐신 수용체와 작용제 결합 상태에 대한 결정 구조 분석
염증조절 복합체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NLRC4의 인산화 프로세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에 의한 종양 생성 메커니즘
근적외선 배경 복사의 근원이 되는 것으로 보이는 암흑 물질 헤일로 내의 별
제논 가스의 희소성을 설명할 수 있는 메커니즘
단백질 진화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위성
맥시코 만류의 변화에 의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불안정성 증가
표지 기사: 내부 시스템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 방법
탄소로만 이루어진 4급 입체중심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