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
Nature 488, 7413
하니스 경주(Harness racing)에 적합한 미국 스탠더드브레드종(American Standardbred)과 올터레인 아이스랜딕 브리드(all-terrain Icelandic breed)와 같은 일부 말들은 추가적인 걸음걸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모든 말들은 걷기(walk), 속보(trot), 캔터(canter), 그리고 갤럽(gallop)이 가능하지만, 일부는 ‘측대속보(pace)’가 가능하다. 아스랜딕 종에 대한 지놈 분석 결과를 통해서 DMRT3 유전자에 미성숙 종결 코돈(premature stop codon)과 다른 형태의 걸음걸이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쥐를 대상으로 한 기능 확인 실험을 통해서 Dmrt 3가 다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척추 신경세포의 정상적인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Dmrt3는 척추 동물에서 걸음걸이를 조절하는 척추 신경 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산 말에서 발견되는 DMRT3 돌연변이는 걸음걸이 특성에 대한 변화를 통해서 개체의 다양성에 영향을 유발한다. 표지 사진: 란스못 국제 말 경쟁대효에 참가한 아이스랜딕 브래드,와 경쟁마들의 모습.
2012년8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추가
X-선과 가시광선 파장의 혼합을 통한 물질 분석
백악기 이후해양 탄산염 흡수와 관련된 CCD 측정
항생제 사용에 따른 가축 체중 증가에 관한 메커니즘 분석
대장암에서 발견되는 R-스폰딘 단백질의 융합 메커니즘 분석
인플라마좀 활성화 및 HMGB1 분비에 관여하는 PKR 작용 메커니즘
암 억제 유전자 RNF43에 의한 Wnt 신호전달 경로 억제 메커니즘
자폐증 및 대뇌 피질 기능 이상에 관여하는 푸르키니에 세포에서의 Tsc1 돌연변이
교모세포종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흔히 발견되는 IDH1 및 IDH2 유전자 돌연변이의 기능 분석
체세포의 재프로그램화 동안 후생학적 변화 초기에 발현되는 Parp1 및 Tet2의 기능 분석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폐 조직
표지 기사: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
그래핀-질화 붕소 회로에 대한 박막 회로 구성 및 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