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폐 조직
Nature 488, 7413
면역 세포가 뇌에 어떻게 접근하는지는 중추신경계에서의 생리학적 특성과 병인학적 프로세스를 이해하는데 중요하였다. 이번 주 네이처에는 질병 유발 효과 T 세포(disease-inducing effector T cell)가 뇌로 들어가는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자가면역 뇌척수염 실험 모델(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에서는 뇌척수염을 일으키는 T 세포가 일시적으로 폐에 머물렀다가 중추신경계에 축적된다. 이들 세포들은 CNS로 이동하는 동안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기능적인 특성이 변화하며, 결과적으로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폐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숙주의 방어에 관여하는 면역 세포들이 이동하는 장소 역할을 하며, 자가 면역 세포들이 발달하는 니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2년8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추가
X-선과 가시광선 파장의 혼합을 통한 물질 분석
백악기 이후해양 탄산염 흡수와 관련된 CCD 측정
항생제 사용에 따른 가축 체중 증가에 관한 메커니즘 분석
대장암에서 발견되는 R-스폰딘 단백질의 융합 메커니즘 분석
인플라마좀 활성화 및 HMGB1 분비에 관여하는 PKR 작용 메커니즘
암 억제 유전자 RNF43에 의한 Wnt 신호전달 경로 억제 메커니즘
자폐증 및 대뇌 피질 기능 이상에 관여하는 푸르키니에 세포에서의 Tsc1 돌연변이
교모세포종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흔히 발견되는 IDH1 및 IDH2 유전자 돌연변이의 기능 분석
체세포의 재프로그램화 동안 후생학적 변화 초기에 발현되는 Parp1 및 Tet2의 기능 분석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폐 조직
표지 기사: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
그래핀-질화 붕소 회로에 대한 박막 회로 구성 및 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