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교모세포종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흔히 발견되는 IDH1 및 IDH2 유전자 돌연변이의 기능 분석
Nature 488, 7413
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socitrat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고 있는 IDH1과 IDH2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인간 교모세포종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러한 돌연변이들은 대사체인 2HG(R-2-hydroxyglutarate)의 합성을 유도하는데, 2HG는 DNA와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 레벨을 조절한다. Tak Mak과 공동연구원들은 가장 흔한 IDH1 돌연변이인 IDH1-R132H가 조건에 따라 조혈모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 조작 생쥐를 제작하였다. 이 돌연변이 생쥐는 초기 조혈모 전구세포들의 개수가 증가하였으며, 비종(spenomegaly), 빈혈(anaemia), 그리고 수질외 조혈작용(extramedullary haematopoiesis)가 유발되었다. 또한 세포들은 DNA 및 히스톤 메틸화 패턴이 바뀌며, 이는 IDH1/2 돌연변이를 가진 인간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생쥐 모델은 IDH1 돌연변이와 백혈병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2012년8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추가
X-선과 가시광선 파장의 혼합을 통한 물질 분석
백악기 이후해양 탄산염 흡수와 관련된 CCD 측정
항생제 사용에 따른 가축 체중 증가에 관한 메커니즘 분석
대장암에서 발견되는 R-스폰딘 단백질의 융합 메커니즘 분석
인플라마좀 활성화 및 HMGB1 분비에 관여하는 PKR 작용 메커니즘
암 억제 유전자 RNF43에 의한 Wnt 신호전달 경로 억제 메커니즘
자폐증 및 대뇌 피질 기능 이상에 관여하는 푸르키니에 세포에서의 Tsc1 돌연변이
교모세포종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흔히 발견되는 IDH1 및 IDH2 유전자 돌연변이의 기능 분석
체세포의 재프로그램화 동안 후생학적 변화 초기에 발현되는 Parp1 및 Tet2의 기능 분석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폐 조직
표지 기사: 말의 걸음걸이 변화에 영향을 준 DMRT3 유전자 돌연변이
그래핀-질화 붕소 회로에 대한 박막 회로 구성 및 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