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기성 시계와 대사 과정 조절에 관여하는 REV-ERB 경로
Nature 485, 7396
대사성 프로세스들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시계 장치와 같이 움직여야 한다. 핵심 단백질들이 이러한 리듬을 유지하는데, REV-ERB-α, REV-ERB-β가 시계 유전자들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Solt 등은 단백질 합성 REV-ERB 작용제인 SR9011과 SR9009가 어떻게 생쥐에서 작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간, 근골격, 그리고 지방 세포 조직에 대한 대사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변경하면, 생쥐의 에너지 활용이 매우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V-ERB 작용제는 먹이를 통해서 비민이 유발된 생쥐의 총 지방량을 감소시켰으며, 이상지질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개선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REV-ERB 리간드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좋은 약물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 등은 REV-ERB-α와 REV-ERB-β의 유전적 증거들이 일주기성 리듬 및 대사 과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REV-ERB가 결여된 생쥐는 일주기성 시계의 발현에 이상이 있으며, 지질 항상성 유지에 관련하는 유전자 네트워크에도 문제가 있었다. 저자들은 일주기성 휠-러닝 행동(wheel-running behaviour)를 바꿔서 지질 대사 조절을 해제하였다. 이와 같은 데이터들을 통해서 REV-ERB-α와 REV-ERB-β와 PER, CRY, 그리고 다른 피드백 루프에 있는 요소들이 일주기성 리듬에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2년5월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현생 인류의 진화, 새로운 발견
뼈 생성 과정을 조절하는 Sema3A
암 생성과 전이에 관여하는 mTOR 신호 전달 경로
일주기성 시계와 대사 과정 조절에 관여하는 REV-ERB 경로
금식 상태에서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합성 메커니즘
후기 운석 대충돌기에 있었던 지구 운석 충돌 기록
액정을 이용한 자가 조립 나노 방울 경계면 정렬
진화과정에서의 위험성 조절을 위한 돌연변이 발생률 조절
광수용체 전구체 이식을 통한 새로운 시력 회복 기술 개발
RNA 간섭 기법을 통해 발견된 줄기세포 자가 재생 인자 TBX1
식물 면역계를 억제하는 X. campestnis의 AvrAC 유전자
새로운 옥신 조절 유전자 PIN-LI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