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일주기성 시계와 대사 과정 조절에 관여하는 REV-ERB 경로

Nature 485, 7396

대사성 프로세스들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시계 장치와 같이 움직여야 한다. 핵심 단백질들이 이러한 리듬을 유지하는데, REV-ERB-α, REV-ERB-β가 시계 유전자들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Solt 등은 단백질 합성 REV-ERB 작용제인 SR9011과 SR9009가 어떻게 생쥐에서 작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간, 근골격, 그리고 지방 세포 조직에 대한 대사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변경하면, 생쥐의 에너지 활용이 매우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V-ERB 작용제는 먹이를 통해서 비민이 유발된 생쥐의 총 지방량을 감소시켰으며, 이상지질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개선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REV-ERB 리간드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좋은 약물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 등은 REV-ERB-α와 REV-ERB-β의 유전적 증거들이 일주기성 리듬 및 대사 과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REV-ERB가 결여된 생쥐는 일주기성 시계의 발현에 이상이 있으며, 지질 항상성 유지에 관련하는 유전자 네트워크에도 문제가 있었다. 저자들은 일주기성 휠-러닝 행동(wheel-running behaviour)를 바꿔서 지질 대사 조절을 해제하였다. 이와 같은 데이터들을 통해서 REV-ERB-α와 REV-ERB-β와 PER, CRY, 그리고 다른 피드백 루프에 있는 요소들이 일주기성 리듬에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