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원 자외선 영역 관측을 통한 성간 N2 분석
Nature 429, 6992
가스 상 성간 화학 모델(gas-phase interstellar chemistry model)과 암흑 물질 구름에 존재하는 성간 N2H+의 전파 천문학적 관찰을 통해서 분자 질소인 N2가 성간 매질에서 가장 풍부한 질소 함유 분자여야만 할 것이라는 예상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1970년대의 코페르니쿠스 인공 위성을 비롯한 장기간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N2 흡수에 대한 조사는 실패를 거듭해 왔다. FUSE(Far Ultraviolet Spectroscopic Explorer) 인공위성은 지금까지 개발된 것 중에서 가장 민감한 장비로써 상당한 양의 성간 흡광(interstellar extinction)을 시선(sightline)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었으며, 마침내 N2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하였다. 켄타우르스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정도의 적색 항성인 HD124314를 FUSE로 관찰한 결과, 확산된 구름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높은 밀도로 N2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밀도가 높은 분자 구름에서는 예상보다 낮게 존재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