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양자 물질에서 전자 차원의 광학적 제어
Nature 595, 7866
2D 물질은 다양한 이색 현상의 엔지니어링을 가능하게 한다. 2가지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상관된 전자 위상의 실현과 양자 홀 효과(Hall effect)이다. 일반적으로 2D 시스템은 층이 있는 물질을 박리하거나 기판에 단일층 또는 몇 층의 물질을 성장시켜 얻는다. 본 연구에서 Wentao Zhang과 연구진들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3D 물질에서 2D 전자 상태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시적인 2D 상태는 전하-밀도-파 물질의 표면에 가깝게 생성된 거시적 도메인 벽(Domain wall)에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는 광학 변조를 사용하여 양자 물질에서 2D 전자 상태를 생성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2021년7월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인간 데이터
변칙적인 전호 공극성(Forearc porosity)을 생성하는 유체가 풍부한 지형 섭입
양자 물질에서 전자 차원의 광학적 제어
256개의 원자로 구성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양자 시뮬레이터에서 물질의 양자 위상 / 수백개의 Rydberg 원자를 가진 2차원 반강자성체의 양자 시뮬레이션
자기회전 극초신성(Hypernovae)에서의 r-프로세스 원소
무균 간 면역을 유도하는 2가지 화학 약독화(Chemoattenuated)된 PfSPZ 말라리아 백신
미생물군과 군집 형성 저항성을 방해하는 칼로리 제한
이온성 수용체로 가장하는 신호전달 기구인 GluD1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수송되는 오메가-3 지방산의 구조적 기초
종양 내인성 면역원성(Intrinsic immunogenicity)을 억제하는 SETDB1에 의한 후성적 침묵(Epigenetic sile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