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콩과식물(Legume)의 피층 세포(Cortical cell) 운명을 뿌리혹 형성(Nodulation)으로 결정하는 SHR–SCR 모듈
Nature 589, 7843
콩과식물(Legumes)은 질소 고정 박테리아 Rhizobia와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유일한 식물이다. Ertao Wang과 연구진들은 이들 유기체 사이의 세포 내 공생(Endosymbiosis) 진화의 중심이 될 수있는 분자 사건을 설명하였다. 연구진들은 콩과식물 Medicago truncatula의 피층 뿌리 세포(Cortical root cells)에서 식물 발달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SHOOTROOT과 SCARECROW 단백질로 만든 조절 모듈이 공생에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콩과식물에서 이 모듈은 Rhizobial 신호에 반응하고 피층 세포 분열을 시작하여 뿌리혹(Nodule) 형성과 Rhizobia 정착을 가능하게 하며, 비-콩과식물인 Arabidopsis thaliana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하지 않는다.
2021년1월2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뮤온 헬륨-4 이온을 이용한 α-입자 전하 반경 측정
2 TPa로 램프 압축된(Ramp-compressed) 다이아몬드의 준안정성(Metastability)
표지 기사: 편견 노출
Magic-angle twisted bilayer graphene의 상관관계 유도(Correlation-driven) 토폴로지 위상(Topological phases)
조혈모세포(Haematopoietic stem cell)의 이동을 조절하는 통각수용 신경(Nociceptive nerves)
그람 음성균을 죽이고, 면역 제거(Immune clearance)를 동원하는 IspH 억제제
알파바이러스 nsP1 게이트(Gate) 막 바이러스 복제 팩토리(Factories)의 캡핑 포어(Capping pore)
콩과식물(Legume)의 피층 세포(Cortical cell) 운명을 뿌리혹 형성(Nodulation)으로 결정하는 SHR–SCR 모듈
기억 강화에서 수면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식량의 가용성(Availability of food)
PET 리간드 발견을 위한 Metallaphotoredox 아릴(Aryl) 및 알킬(Alkyl) 방사성 메틸화(Radiomethy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