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3D 염색질 구조 파괴에 의해 림프종(Lymphoma)을 유발하는 히스톤(Histone) H1 손실
Nature 589, 7841
링커 히스톤(Linker histone) H1 단백질은 뉴클레오솜(Nucleosome)에 결합하고 염색질 압축(Chromatin compaction)을 촉진한다. 히스톤 H1에 대한 유전자의 반복적인 돌연변이는 B 세포 림프종에서 발생하지만 이들의 병원성 역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 Ari Melnick과 연구진들은 돌연변이 H1 대립유전자가 유전적 드라이버(Driver) 돌연변이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H1이 종양 억제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H1의 결핍은 게놈의 구조적 리모델링을 초래하며 염색질은 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히스톤 변형을 초래하고, 정상적인 경우 초기 발달 동안 침묵(Silence)해야 하는 줄기세포 유전자의 발현을 유발하게 된다. Arthur Skoultchi와 연구진들도 이와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 논문 또한 이번 주 호에 실려있다.
2021년1월1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광자 애벌런치(Photon avalanche)
홍적세 빙하기(Pleistocene glacials) 동안 해양 순환을 재구성하는 남극 빙상(Iceberg)
De novo tandem repeat 돌연변이의 패턴과 자폐증에서 이들의 역할
4,600 km 이상의 통합된 우주-지상 양자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절연체의 란도우(Landau) 양자화(Quantization)와 이동성이 높은 페르미온(Fermion)
3D 염색질 구조 파괴에 의해 림프종(Lymphoma)을 유발하는 히스톤(Histone) H1 손실
방어 항체(Protective antibodies)에 의해 표적화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자가-항원인 ALDH4A1
crAss-유사 파지(Phage)의 비리온(Virion) RNA 중합효소의 구조와 기능
사람 신장 섬유증에서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의 기원에 대한 이해
NGC 253의 마그네타(Magnetar)에서 거대한 플레어(Flare)의 빠른 스펙트럼 가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