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광자 애벌런치(Photon avalanche)
Nature 589, 7841
광자 애벌런치(Photon avalanching)는 물질이 임계 강도 이상으로 빛을 방출할 때 불균형적으로 많은 수의 광자(‘애벌런치(Avalanche)')를 방출하는 비선형적 광학 효과이다, 지금까지 이 현상은 벌크(Bulk) 물질과 집합체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번 주 호에서 James Schuck과 연구진들은 툴륨(Thulium) 이온으로 도핑 된 나노결정(Nanocrystal)이 개별적으로 광자 애벌런치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진들은 단일 빔, 초고해상도 이미징에서 나노결정을 사용하여 70 나노미터 미만의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를 달성하였다. 연구진들은 애벌런치 나노입자가 서브 파장(Sub-wavelength) 이미징, 광학 및 환경 감지, 뉴로모픽(Neuromorphic) 컴퓨팅에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표지 이미지: Mikołaj Łukaszewicz.
2021년1월1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광자 애벌런치(Photon avalanche)
홍적세 빙하기(Pleistocene glacials) 동안 해양 순환을 재구성하는 남극 빙상(Iceberg)
De novo tandem repeat 돌연변이의 패턴과 자폐증에서 이들의 역할
4,600 km 이상의 통합된 우주-지상 양자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절연체의 란도우(Landau) 양자화(Quantization)와 이동성이 높은 페르미온(Fermion)
3D 염색질 구조 파괴에 의해 림프종(Lymphoma)을 유발하는 히스톤(Histone) H1 손실
방어 항체(Protective antibodies)에 의해 표적화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자가-항원인 ALDH4A1
crAss-유사 파지(Phage)의 비리온(Virion) RNA 중합효소의 구조와 기능
사람 신장 섬유증에서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의 기원에 대한 이해
NGC 253의 마그네타(Magnetar)에서 거대한 플레어(Flare)의 빠른 스펙트럼 가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