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진균의 내성을 유발하는 이종염색질(Heterochromatin)에 의한 후성 유전자 침묵(Epigenetic gene silencing)
Nature 585, 7825
분열 효모(Fission yeast)에서 히스톤 H3K9 메틸화는 많은 세포 분열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이종염색질(Heterochromatin)의 후성적(Epigenetic) 특징이지만, 탈메틸화효소(Demethylase) Epe1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Robin Allshire와 연구진들은 야생형(Wild-type) 효모 세포가 이종염색질 유전을 이용하여 DNA 변화가 아닌 불안정한 침묵(Silencing)에 의해 매개되는 표현형(Phenotype)인 후성 돌연변이(Epimutation)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진들은 카페인이 새로운 이종염색질 도메인 형성과 유전자 침묵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세포의 유전형(Genotype) 변화 없이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에 대한 불안정한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카페인-내성 분리균은 항진균제에 대한 교차 내성을 보여준다. 후성 돌연변이체 형성은 세포가 유전적으로 야생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지만, 일시적으로 외부 자극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2020년9월1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백색 왜성(White dwarf)을 지나가는 거성(Giant planet) 후보군
초전도성 준전하(Quasicharge) 큐비트(Qubit)
초음파 감지를 위한 서브마이크로미터 실리콘-온-인슐레이터 공진기(Submicrometre silicon-on-insulator resonator)
초파리 각막 나노코팅의 리버스(Reverse) 및 포워드 엔지니어링(Forward engineering)
표지 기사: Viking world의 집단 유전체학
PMD (Pelizaeus-Merzbacher disease)를 회복시키는 PLP (proteolipid protein) 억제
포유류 배아에서 비대칭적으로 유전되는 운명 결정인자(Fate determinants)인 케라틴(Keratins)
종양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층 상피조직의 역학(Mechanics)
진균의 내성을 유발하는 이종염색질(Heterochromatin)에 의한 후성 유전자 침묵(Epigenetic gene silencing)
MSA (Multiple system atrophy)에서 α-시누클레인(α-synuclein) 섬유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