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ALS 및 FTD에서 Haploinsufficient C9orf72 ARF GAP 복합체의 구조
Nature 585, 7824
C9orf72와 관련된 단백질들은 근위축성측색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과 전두 측두엽 퇴화(Frontal temporal degeneration)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의 활성 상실은 신경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James Hurley, Ming-Yuan Su와 연구진들은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C9orf72–SMCR8–WDR41 복합체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작은 GTPases의 ARF family인 GAP (GTPase activating protein)로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9orf72는 ARF 단백질에 대한 SMRC8-매개 GAP 활성과 WDR41을 통한 리소좀의 공국소화(Lysosomal colocalization)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리소좀 신호전달과 자가포식(Autophagy), 신경세포 생존에서 C9orf72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흥미로운 근거를 제공한다.
2020년9월1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마젤란 스트림(Magellanic Stream) 형성의 열쇠인 마젤란 코로나(Magellanic corona)
보다 지속 가능한 냉각(Cooling)을 위한 미세유체학과 전자공학의 공동 설계
고압 액체 수소의 초임계 거동(Supercritical behaviour)에 대한 증거
촉매 작용을 위한 메조포러스 제올라이트(Mesoporous zeolite)의 희토류-백금 합금 나노 입자
초심층(Superdeep) 다이아몬드에 기록 된 암석권에서 맨틀 아래로의 탄소 순환
ALS 및 FTD에서 Haploinsufficient C9orf72 ARF GAP 복합체의 구조
Arabidopsis에서 열 센서로 작용하는 ELF3의 프리온 유사 도메인(Prion-like domain)
HIV-1의 자발적인 제어력을 가진 환자의 특유한 바이러스 Reservoirs
SARS-CoV-2에 감염된 히말라야 원숭이(Rhesus macaques)에서의 호흡기 질환
사이클린 K(Cyclin K)를 고갈시키는 분자 접착제 분해제로 작용하는 CDK 억제제 CR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