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식물 면역을 조절하는 BIK1의 리간드-유도 모노 유비퀴틴화

Nature 581, 7807

식물이 침입성 병원체에 반응하는 방법은 원형질 막에서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PRR)에 의한 Microb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MAMP)의 인식을 포함한 신호 증폭(Signaling cascade)를 통한 것이다. Downstream, 수용체-유사 세포질 키나아제 (RLCK, Receptor-like cytoplasmic kinases)는 빠르게 인산화되고 다수의 PRRs과 연관되게 된다. Libo Shan과 그녀의 팀은 원형질 막 수준에서 RLCK 활성화 조절을 연구하였다. 그들은 인산화 후, 2개의 E3 리가아제 효소가 모노 유비퀴틴화에 의한 RLCK BIK1의 변형을 촉매한다고 발표하였다. BIK1이 MAMP 인식 시 플라젤린(Flagellin) 수용체 FLS2와 복합체를 분리 할 수 있게 하고, 신호 전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해 BIK1의 내재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