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정보 게리멘더링과 비민주적 결정 간의 상관관계
Nature 573, 7772
정보분야의 게리멘더링은 표지 사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정치적인 결정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사람들은 어떻게 투표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이질적인 정보 소스들을 반드시 결합시킨다. 하지만, 정보는 항상 자유롭게 흐르지 않으며, 소셜 네트워크에 의해서 정체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젤롯(zealots) 및 자동봇(automated bots)에 의해서 왜곡될 수도 있다. 이번 주 네이처에서 Alexander Stewart와 공동연구원들은 정보 흐름과 수집 의사 결정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 투표 게임에 대해서 발표하였다. 저자들이 사용한 투표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서로 경쟁상황에 있는 정당으로 배정되며, 투표 의향을 관찰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다. 연구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구조는 두 정당의 규모가 유사하고 각각의 출마자들이 동일한 영향력을 가지는 상황에서 투표 결과를 한쪽 정당에 유리하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저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정보 게리멘더링(information gerrymandering)’으로 정의하였다. 소수의 젤롯들을 전략적으로 네트워크에 위치시키면, 정보 게리멘더링을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실생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의사 결정은 정보 게리멘더링과 자동화된 젤롯봇에 의해서 규칙적인 왜곡 현상이 일어난다. 표지 이미지: Kelly Krause/Nature 제공
2019년9월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유전자 전사의 조직 및 조절
사람 대 생쥐 대뇌피질에서 다양한 특징을 가지는 세포들
선천성 면역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PIEZO1에 의한 주기적 힘의 기계감각인지
다발성 경화증에서 확인된 신경 취약성 및 계통 다양성
퀘이사에서 초거대 블랙홀 강착 디스크의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하는 고속 인플로우
대기가 존재하지 않는 지구형 외계 행성 LHS 3844b
기후 변화에 따라 유럽 내에서도 지역적으로 달라지는 하천 범람의 정도
표지 기사: 정보 게리멘더링과 비민주적 결정 간의 상관관계
지방산과 암에 의해서 증폭된 ZDHHC19에 의해서 촉진되는 S-팔미토일레이션을 통한 STAT3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