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10 하이라이트
2023年5月8日 ~ 2023年6月7日
JSWT를 이용한 지구 크기의 외계행성 TRAPPIST-1 b의 열 방출
Nature 618 (2023년6월1일)
이 연구에서는 JWST를 이용하여 외계행성 TRAPPIST-1b에는 대기의 흔적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951-7
News & Views doi: 10.1038/d41586-023-01738-y
인간 범유전체(Pangenome)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인간 참조 게놈은 2001년 초안 서열(draft sequence)이 발표된 이후 인간 게놈학의 근간이 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나의 게놈이 인간 종의 다양성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주 호에서 Human Pangenome Reference Consortium은 인간 게놈에 대한 보다 완전한 그림을 제공하기 위해 47개의 유전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유전 물질을 결합한 최초의 인간 범유전체(panegenome) 초안을 제시하였다. 2개의 추가 논문에서는 이 새로운 리소스를 사용하여 반복 DNA를 포함하는 게놈 영역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최소 350개의 사람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범유전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나온 것이다. 표지는 전세계에 존재하는 범유전체를 보여주고 있으며,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의 Adam Novak이 생성한 염색체 6의 고도로 가변적인 HLA-A 유전자좌 내의 10가지 일배체형과 관련된 범유전체 그래프의 시퀀스 튜브 맵 렌더링(sequence tube map rendering)을 사용하였다. 표지 이미지: Darryl Leja/NHGRI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96-x
News & Views doi: 10.1038/d41586-023-01490-3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95-y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976-y
인간 장 Crassvirus의 구조적 아틀라스(Atlas)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연구에서는 cryoEM을 이용하여 비리온(Virion)과 카고(Cargo) 단백질을 구성하는 >1,400개의 단백질 서브유닛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crAssphage 비리온의 최초의 상세한 구조 분석을 제공하였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6019-2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위한 RGB microLED의 동시 자가 조립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논문에서는 자기장을 사용하여 3색(빨강-초록-파랑)을 모두 매우 높은 수율로 넓은 영역에 걸쳐 동시에 증착할 수 있는 microLEDs의 새로운 조립 과정을 설명하였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89-w
꼬임 통계(Braiding statistics)를 나타내는 희석된 애니온(Anyon)의 분할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연구에서는 희석된 애니온(Anyon)의 분할은 꼬임 통계(Braiding statistics)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83-2
헬륨이 풍부한 항성 주위 물질을 가진 전파 탐지된 Type Ia 초신성
Nature 617 (2023년5월18일)
이 연구에서는 일반 별에서 백색 왜성으로 가스를 옮기는 것으로 보이는 Type Ia 초신성에서의 전파 방출을 보여주었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916-w
그래핀 이종 구조에서 조정 가능한 전자-굴곡 포논(Flexural phonon) 상호작용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연구에서는 그래핀 이종 구조에서 조정 가능한 전자-굴곡 포논(Flexural phonon) 상호작용을 발표하였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79-y
초전도성 회로를 이용한 허점 없는 벨 부등식 위반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연구에서는 30 미터 거리에 있는 2개의 초전도성 회로 간의 Bell 부등식의 허점 없는 위반에 대해 발표하였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5885-0
News & Views doi: 10.1038/d41586-023-01488-x
미생물 관련 면역요법 내성을 극복하는 PD-L2–RGMb 표적화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논문에서는 면역 세포에서 새로운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경로를 식별하고 그 억제가 PD-1 또는 PD-L1 체크포인트 차단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6026-3
공동 행동 및 신경 분석을 위한 학습 가능한 잠재 임베딩(Embedding)
Nature 617 (2023년5월11일)
이 연구에서는 신경 집단 역학과 행동을 연관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주었다.
Article doi: 10.1038/s41586-023-06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