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구조적 약리학을 통해서 밝혀진 GABAA 수용체 신호전달 메커니즘

Nature 565, 7740

A형 GABA(Type-A γ-aminobutyric acid, GABAA) 수용체는 뇌에서 빠른 억제성 신경 전달을 주관한다. GABAA수용체는 벤조디아제핀 디아제팜(benzodiazepines diazepam, Valium) 및 알프라졸람(alprazolam, Xanax), 마취제, 그리고 알코올과 같은 다양한 약물 및 마약의 타깃이 되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두 편의 연구 논문에서 Alexandru Aricescu와 공동연구원들은 주요 시냅스 GABAA 이소폼(isoform)인 인간 α1β3γ2의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들 구조는 지질 나노디스크(lipid nanodiscs) 형태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자연 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체의 세공이 완전하고 기능을 가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데이터들과 이와 같이 중요한 수용체의 구조 약리학 데이터는 새로운 약리학 및 툴 컴파운드(tool compound) 개발의 기초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는 구조 해명 및 포지티브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positive allosteric modulator)로 작용하는 메가바디인 Mb38이 있는 상태에서 해석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GABAA 및 연관된 막 단백질의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