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뎅기바이러스 감염 위험 분석을 위한 항체 다이나믹스 및 감염 재구성
Nature 557, 7707
뎅기 바이러스는 세계에서 가장 발병률이 높은 모기 매개 질환이다. 바이러스 감염 초기 및 감염 지속기에 만들어지는 항체는 다른 바이러스 종에 의한 2차 감염 동안 심각한 감염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차 감염 바이러스와 결합된 항체가 감염성 면역 복합체를 형성하여 Fc-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세포에 침투하여, 감염된 세포들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항체-의존성 뎅기 질환 악화는 뎅기에 대한 백신을 투여 받은 혈청형 음성 환자들에게서 감염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Henrik Salje와 공동연구원들은 감염 과정에서의 항체 타이터가 감염 및 질병 발병에서 하는 역할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저자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백신의 개발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8년5월3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포토닉스를 이용한 분자의 진동 양자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
피라미드 세포에 의한 인터뉴런 생존 조절
레지오넬라 이펙터 SdeA에 의한 유비퀴틴 변형의 구조적 기초 분석
3가지 액체 입자들을 통해서 조절되는 C. elegans의 후생학적 유전
천체 물리학적 에너지에서 공명에 의한 퓨전 반응률 증가
표지 기사: 이탈리아 알프스에서 발견된 중기 트라이아스기 도마뱀 화석을 통해서 밝혀진 파충류 비늘의 기원
Notch-콜라겐 V-CALCR 신호전달에 의한 근육 줄기세포의 휴지 상태 유지 메커니즘
뎅기바이러스 감염 위험 분석을 위한 항체 다이나믹스 및 감염 재구성
미생물 대사체에 대한 성상세포의 반응을 조절하는 미세아교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