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초강력 친화력을 가진 단백질 복합체에서의 극단적인 무질서 상태
Nature 555, 7694
무질서한 상태의 단백질 부위는 높은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 결과에 따라 단백질 복합체가 형성되면, 최소한 하나의 단백질은 안정적으로 접혀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en Schuler와 공동연구원들은 적절한 독립적인 생물물리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는 경우 완전히 무질서한 상태로 남아 있는 두 단백질(히스톤 H1과 핵 샤페론 프로티모신- α) 간의 피코몰 단위의 매우 높은 친화적 복합체를 밝혔다. 매우 높은 친화력에 의한 결합은 높은 대전 상태의 다중 펩타이드의 확장된 사슬을 통해서 다양하고, 다이나믹하며, 비특이적인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어난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밝혀진 구조적 특징은 인간을 비롯한 진핵세포의 신호전달 분자에서 매우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3월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개체 집단 스냅샷을 통한 초기 조혈모세포 및 적혈구 세포 계층집단 예측
표지 기사: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들에서의 교육 목표 도달율에 대한 맵핑
초강력 친화력을 가진 단백질 복합체에서의 극단적인 무질서 상태
헌팅턴 단백질 복합체에 대한 냉동 전자 현미경 구조 분석 결과
발암 유전자에 의해서 유발된 DNA 복제 스트레스
천체 표준 스펙트럼 내 78MHz에서의 흡수 프로파일
레위니옹 섬 화산암에서 비정상적인 142Nd/144Nd 비율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하데스 규산염 분화
수면 시점에 대한 주변 환경 온도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일주기성 시계 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