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장내 미생물의 형성 및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내인성 및 적응성 면역 림프구
Nature 554, 7691
포유류의 장에는 수조 개의 세균이 군집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이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는 조건에서 면역적 및 대사적인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지만, 좋지 않은 환경에서는 이들이 효과 T세포(effector T cell) 반응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도 있다. Ronald Germain과 공동연구원들은 조직세포화학을 이용하여 소장 내에서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두 종류의 주요 림프구 집단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저자들은 효과 T 도움 17 세포(effector T helper 17 cells)가 소장 내에 있는 다양 종의 세균을 조절하는 반면, 조절 T 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23이 공생 세균으로부터의 자극 인자에 반응한 CCR2+ 단핵구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내인성 림프구 세포 그룹 3(group 3 innate lymphoid cells, ILC3s)를 통해서 IL-22 생성을 억제하고, 이어서 장내 상피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적응 면역 반응(adaptive immune effect)이 없는 경우, ILC3는 생성된 이후에 활성화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며, 지속적인 IL-22의 생성은 염증 반응 및 비정상적인 지질 대사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2018년2월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빠른 움직임을 위해 두 개의 다이네닌을 필요로 하는 다이넥틴의 구조에 대한 냉동 전자 현미경 분석
HER2, HER3 돌연변이를 가진 암에 대한 HER 인산화효소 억제 바스켓 임상 시험
표지 기사: 태양 폭발을 유발하는 핵심 구성 요소인 자기 상자와 자기 흐름 로프
장내 미생물의 형성 및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내인성 및 적응성 면역 림프구
GW170817에서 일어나는 중성자 별의 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넓은 앵글의 아웃플로우
포유류 발달에서 인헨서의 중복성에 의한 표현형 발달
중국에서 개화 식물상의 진화 역사
높은 적중성을 보이는 혈중 베타 아밀로이드 바이오마커를 통한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