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광입자 트랩핑을 통한 부피를 가진 3차원 디스플레이
Nature 553, 7689
3차원의 움직이는 이미지는 오랫동안 공상과학 영화에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3차원 형상은 조작된 빛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형태는 매우 좁은 시점을 가지는 한계가 있으며, 독특한 헤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Daniel Smalley와 공동연구원들은 3차원 물체를 실제 공간 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영상은 어떠한 각도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고형의 물체와 함께 있는 상태에서도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 영상은 거의 근적외선에 가까운 비가시광선을 특정 공간에 가두고, 부피를 가진 공간에서 작은 입자를 움직임으로써, 적색, 녹색, 청색 레이저를 통해 이를 밝게 빛을 나게 할 수 있었으며, 여러 가지 컬러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물체의 표면에 대한 맵핑을 할 수 있었다. 만일 입자 스캐닝이 좀더 빠르고, 시각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보일 수 있다면, 이는 인간 눈의 ‘재생률’보다 느리게 되며, 이를 통해서 3차원 표면이 나타나게 된다. 좀더 빠른 스캐닝 속도에서는 이미지화된 물체를 움직이게 만들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8년1월2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세포질 DNA 반응을 통한 전이를 유발하는 염색체 불안정성
신체 움직임의 속도와 게이트 선택에 관여하는 중뇌 신경 회로
독특한 공전 궤도로 차가운 난장이 별 주변을 돌고 있는 해왕성 크기의 외행성 GJ436b
광입자 트랩핑을 통한 부피를 가진 3차원 디스플레이
적색편이 7.5에 존재하는 중성자 우주에서 확인된 태양 8억 배 질량의 거대 블랙홀
카포시 육종 유발 헤르페스바이러스의 복제에 대한 캡시드 단백질 상호작용을 밝힌 구조 및 돌연변이 분석
FGF23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비 단백질성 분자 스캐폴드인 알파 클로토
NT5C2돌연변이에 의한 백혈병에서의 클론성 진화 메커니즘
T세포와 수지상 세포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in vivo 세포간 효소 라벨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