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최후 빙하기 전환기 동안의 글로벌 평균 해양 온도 분석
Nature 553, 7686
해양의 과거 온도를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방법의 대부분은 특정 깊이 또는 계절을 연구하는 것에만 제한되었거나, 매우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Bernhard Bereiter와 공동연구원들은 아이스 코어에 존재하는 노블 가스를 이용하여, 마지막 최대 빙하기와 초기 홀로세 동안에 있었던 다양한 해양 온도를 고해상도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이 기간 동안 전체적인 해양 온도 온난화가 약 2.5도였으며, 이는 대서양에서의 온도 변동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현대의 해양 온도를 넘어서는 급격한 온난화는 북반구의 고위도 지역에서 급격한 온도 하락이 발생하였던 영거드라이어스기(Younger Dryas period) 동안에 발생한 것으로 보여진다.
2018년1월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좌우대칭 신경 코드의 상시 진화 모델
최후 빙하기 전환기 동안의 글로벌 평균 해양 온도 분석
최초의 10억년 우주 역사에서 거대 헤일로 내에서 성장한 은하계
쿨린 3-SPOP를 통한 PD-L1을 불안정화시키는 사이클린 D-CDK4 인산화 효소에 및 이를 통한 암 면역 감시 조절
표지 기사: 초음파 리포터 유전자를 이용한 신체 내 미생물의 비침습적 이미지 촬영
새삼류의 마이크로 RNA에 의한 숙주 mRNA 억제
글로벌 식물 바이오 매스에서 삼림 관리의 예상치 못한 거대 영향
수티망가비 지놈 염기서열을 통한 자연계 SIV 숙주에서의 AIDS 저항성의 원인 파악
암 줄기세포화를 촉진하는 재프로그램화와 관련된 염기서열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