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선택적 저분자 억제제를 통한 USP7 억제를 통한 암세포 성장 억제
Nature 550, 7677
탈 유비쿼틴화 효소는 타깃 기질로부터 작은 변형 단백질인 유비쿼틴을 제거함으로써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한다. 이러한 효소 중에 하나인 UPS7은 항암제 개발의 잠재적인 타깃이며, 이 단백질을 억제하면 유비쿼틴화 된 온코단백질인 MDM2가 분해되며, 종양 억제 단백질인 p53의 재 활성화가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UPS7의 선택적인 억제는 여전히 많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David Komander와 공동연구원들은 USP7을 억제하는 작은 두 개의 분자를 밝혔으며, 이들이 in vitro와 세포 내에서 매우 높은 친화력 및 특이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억제제들이 가지는 작용 기전에 대한 구조적인 해석을 제공하였으며, 이들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번 주 네이처의 다른 기사에서 Ingrid Wertz와 공동연구원들은 UPS7에 대한 억제제 2개를 별도로 개발하였으며, 암세포에 대한 독성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2017년10월2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염증성 기억을 통해 조직 손상에 대해 민감화된 상피 줄기세포
선택적 저분자 억제제를 통한 USP7 억제를 통한 암세포 성장 억제
표지 기사: 분자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을 통한 금속의 가소성 한계 측정
정전기적 도핑을 이용한 MoTe2 단일층의 구조적 위상 전이
적혈구 및 혈소판으로부터 스핑고신-1-인산의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fsd2b
1900년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P. falciparum 유행 패턴 분석
바렛씨 화생에 의한 위-식도 경계세포의 변형에 대한 기저 세포 변형 확인
포유류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질량 변동성에 대한 피코그램 및 밀리초 단위 측정
해빙-절벽 불안정성에 대한 파인섬 만에서 얻어진 빙산 용골의 갈려진 흔적